본문 바로가기
경제흐름 지식일지

📊 외국인 매도, 물가 반등, HLB 급등, KT·SKT 논란까지! 한국 증시 & 물가 정리

by 이응미음 2025. 11. 5.
반응형

안녕하세요 💬
요즘 뉴스 보면 “주식이 왜 또 떨어졌지?”, “물가가 다시 오르네?”, “해킹이 뭐야?” 같은 말 많죠?
오늘은 11월 첫째 주(2025.11.4 기준) 주요 경제 이슈 7가지를
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봤어요!
어려운 용어는💡비유로 풀어드리고,
마지막엔 🎯투자 포인트까지 정리했으니
끝까지 읽으면 뉴스 보는 눈이 확 달라질 거예요 👀



📉 ① 코스피, 외국인 매도에 4,120선 붕괴

외국인 투자자들이 무려 2조 2,232억 원어치 주식을 팔아치우면서
코스피가 전일 대비 -2.37% 하락한 4,121.74로 마감했어요.
이게 무려 4년 3개월 만의 최대 순매도액이라고 합니다! 😱

📉 하락 주요 종목
•SK하이닉스 -5.48% (58만 원대 하락)
•현대차 -5.32%
•HD현대중공업 -6.59%
•키움증권 -4.44%

💡 쉽게 말하면?
외국인들이 “이익 충분히 봤다, 이제 팔자” 하면서 빠져나가고
개인투자자들이 “지금이 기회야!” 하며 대신 사들이는 구조예요.
즉, ‘외국인 매도 vs 개인 매수’ 줄다리기 장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📍투자 포인트
•외국인 매도세가 단기 조정 신호일 수 있음
•반도체·자동차·조선주 단기 하락 후
되돌림 가능성 주시

출처 연합뉴스


💸 ② 10월 소비자물가 2.4% 상승,
15개월 만의 최고

전년 동월 대비 +2.4% 상승 👉 작년 7월 이후 최고치예요.
근원물가(농산물·석유 제외)도
2.5% 올라 물가 전반이 들썩입니다.

📈 이유는?
•추석 연휴로 여행·숙박 수요 폭발 ✈️
•잦은 비로 농산물 출하 지연 🌽
•작년 석유값 급락의 기저효과(=작년이 너무 싸서 올해 비싸 보이는 효과)

💡 비유하자면
작년에 커피 1잔이 1,000원이었는데 올해 1,200원이 되면 20% 오른 거지만,
작년에 너무 싸게 팔았던 거라 올해 유독 비싸게 느껴지는 거예요 ☕

📍투자 포인트
•물가가 오르면 금리 인하 속도 늦어짐 ⏳
•내수주(여행·외식 등) 단기 호조,
하지만 장기엔 소비 둔화 우려

출처 HLB



💊 ③ HLB, 글로벌 자산운용사 투자 유치로 13% 급등

항암신약 개발회사 HLB
영국계 자산운용사 LMR 파트너스로부터
2,00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소식에
하루 만에 13.68% 급등했어요 🚀

📈 HLB 계열사 주가 동반 상승
•HLB바이오스텝 : 상한가 🎯
•HLB생명과학 : +19.10%
•HLB제약 : +16.34%

💡 쉽게 말하면?
“외국 자본이 돈을 넣었다 = 신뢰도 상승”으로 해석돼요.
신약개발 성공 기대감이 커진 거죠 💊

📍투자 포인트
•단기 급등 이후 차익 실현 가능성 있음
•중장기적으로 신약 승인 진척 여부 체크

출처 SK



🛢️ ④ 정유주·배터리주 동반 상승!

OPEC+ 8개국이 “추가 증산 중단”
선언하자 국제유가 상승 기대감으로
정유주가 급등했습니다.

🔥 정유주 상승
•S-Oil : +6.92%
•GS : +1.24%

그리고 삼성SDI는 테슬라 ESS용 배터리 공급 보도로 +3.21% 상승,
연중 최고가(33만 7,500원) 달성했습니다 ⚡

💡 쉽게 말하면?
“기름 더 안 낸다”니까 석유값이 오르고
→ 정유사 이익 ↑
“테슬라에 배터리 납품” 뉴스로
→ 2차전지주 관심 ↑

📍투자 포인트
•원유가격 상승 시 정유주 수익성 개선
•ESS(에너지저장장치) 시장 확대는 삼성SDI 등 배터리주에 장기 호재

출처 연합뉴스


📱 ⑤ KT, 전 가입자 ‘유심 무료 교체’
전격 시행

KT가 해킹 피해 여파로 전 가입자 대상 무료 유심 교체를 발표했어요.
2만 명 이상이 불법 기지국 접속 노출,
일부는 무단 결제 피해까지 발생 😨

💡 유심이 뭐야?
📱 스마트폰 안에 들어가는
“개인정보칩”이에요.
그 안에 내 전화번호, 인증 정보 등이 들어있어요.

KT는 아직 “전원 정보 유출은 아님”이라고 밝혔지만,
불안감이 커지자 선제적 교체에 나선 거예요.

📍투자 포인트
•KT 단기 비용 증가 예상
•장기적으로 고객 신뢰 회복이 중요

출처 뉴스1



⚖️ ⑥ SKT 개인정보 유출 보상,
1인당 30만 원 논란

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가 해킹 피해자 1인당 30만 원 배상 권고했어요.
하지만 피해자 2천만 명,
유출 정보 25종이라 “너무 적다”는
비판이 나왔습니다.

💡 비유로 말하자면
25종의 개인 정보가 새나갔는데,
보상은 “커피 기프티콘 10장 수준”…
그래서 “벌금보다 보상이 싸다”는
비판이 나오는 거예요.

📍투자 포인트
•SKT 단기 신뢰도 하락
•통신 3사 모두 보안 강화 경쟁 예상

출처 연합뉴스



🙅 ⑦ 트럼프 “엔비디아 첨단칩,
수출 안 한다”

트럼프 대통령이 “엔비디아의 최신 AI칩 ‘블랙웰’을 해외에 안 판다”고
언급했습니다.
즉, “미국 내수 전용”으로
돌리겠다는 거예요 🇺🇸

💡 왜 이슈야?
•블랙웰 칩은 현존 최강 AI 반도체 💻
•한국도 이 칩 26만 장 공급받기로 했는데, 수출 제한되면 공급 차질 우려

📍투자 포인트
•AI반도체 수급 불안 가능성
•대체 공급망(AMD, 삼성전자 등) 주목 필요

출처 연합뉴스


🎯 이번 주 투자 인사이트 요약

✅ 외국인 매도 = 단기 조정, 장기추세엔 영향 제한적
✅ 물가 상승 = 금리인하 지연, 경기 둔화 우려
✅ 정유·배터리 = 실적 모멘텀 유지
✅ 해킹 이슈 = 통신주 단기 리스크
✅ 트럼프 발언 = AI칩 관련주 변동성 확대

💡 한 줄 정리
“외국인은 팔고, 물가는 오르고,
기술주는 흔들리지만
기회는 ‘섹터 안의 변화’를 잡는
사람에게 온다.”



🙏
오늘 내용은 조금 길었지만,
한 주의 경제 흐름을 쉽고
한눈에 정리해 봤어요 💬

뉴스는 어렵지만, 이해하고 나면
“시장이 왜 이렇게 움직였는지”
감이 잡히기 시작합니다 📊

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🙏
오늘도 현명한 투자되세요 💸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