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흐름 지식일지

📌 7년 만의 美 셧다운부터 메타의 AI 투자까지, 글로벌 경제 이슈 총 정리

by 이응미음 2025. 10. 2.
반응형

 

 

안녕하세요 😊
이번 주는 미국 연방정부의 셧다운부터 한미 비자 협의, 

메타의 초대형 AI 투자, 한국 부동산 세무조사, 미국 무역대표부 발언까지 

글로벌 경제를 흔드는 굵직한 뉴스들이 이어졌습니다.
오늘은 이 소식을 쉬운 설명, 투자 포인트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!



⏱️ 미국 연방정부, 7년 만에 셧다운 개시


셧다운(Shutdown) : 미국 의회가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못해

정부 운영비가 끊기면서 일부 부처 업무가 멈추는 상황.
👉 비유 : “회사가 월급 예산을 못 짜서 직원들이 무급휴가에 들어간 것”과 비슷합니다.
이번 특징 :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을 정치적 지렛대로 활용,

“자신의 국정 과제에 맞지 않는 공무원은 해고하겠다”고 압박.

🔎 투자 포인트
• 단기 : 달러 약세 가능 → 금, 미 국채 같은 안전자산 선호.
• 장기화 시 : 글로벌 증시 불확실성 확대.



🌐 한미, B-1 비자 & ESTA 적법성 재확인


B-1 비자 : 단기 출장용 비자 (설치·점검·회의 등 가능).
ESTA : 90일 이하 무비자 입국 허가.
이번 합의 :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할 때 장비 설치·점검 등에

B-1 비자/ESTA 사용 가능함을 재확인.
• 또, 주한미국대사관에 비자 전담 데스크 설치 → 기업 소통창구 마련.

👉 쉽게 말해, “한국 기업들이 미국에 투자할 때 쓰는 출장 티켓이 여전히 유효하다”는 걸 다시 확인한 셈.

🔎 투자 포인트
삼성전자, 현대차, SK 등 미국 현지 공장 건설·투자 기업들에 긍정적.
• 장기적으로 대미 투자 안정성 강화 → 한국 기업의 미국 진출 리스크 완화.



🤝 코어위브(CoreWeave), 메타와 20조 원 규모 계약


코어위브 : 엔비디아 GPU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센터 운영 업체.
계약 규모 : 최대 142억 달러(약 20조 원).
메타(페이스북 모회사) :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컴퓨팅 파워 확보.
결과 : 코어위브 주가 +11.7%, 엔비디아 주가 +2.6%.

👉 쉽게 말해, “AI 시대의 전기발전소” 역할을 하는 게 데이터센터인데,

 메타가 이 발전소 전기를 대량 구매한 것과 같습니다.

🔎 투자 포인트
엔비디아 : GPU 수요 지속 확대 → 장기 성장성 강화.
AI 인프라 기업(CoreWeave 등) : 필수 AI 시대 수혜주.
메타 : AI 경쟁력 강화 → 플랫폼 기업의 AI 활용 확대 신호.

출처 연합뉴스



🏘️ 국세청, ‘한강벨트’ 주택 거래 세무조사 착수


조사 대상 : 서울 강남 4구·마용성(마포·용산·성동구) 등 

초고가 아파트 거래자 104명.

• 문제 사례
• 출처 불분명 자금으로 60억 원 아파트 매입.
• 20대 취준생이 20억 원대 아파트 매입.
의미 : 자금 출처 불분명 → 편법 증여·탈세 가능성.

🔎 투자 포인트
• 고가 부동산 거래에 대한 정부 압박 강화 → 단기적으로 부동산 시장 위축.
• 건설·부동산 관련주 단기 부담.
• 자금 투명성 강화 정책 → 장기적으로 금융시장 안정 기여.



🗣️ 미국 무역대표, “대법원 패소해도 관세는 계속”


발언 배경 : 연말 대법원 판결에서 “상호관세가 위법” 판결 가능성.
USTR 대표 발언 : “설령 패소해도 다른 방법으로 관세 유지.”
의미 : 무역 갈등 불씨 여전히 존재.

🔎 투자 포인트
• 단기 : 미·중 무역갈등 지속 → 관련 업종(반도체, 전자, 철강 등) 불확실성.
• 장기 : 보호무역 기조 유지 → 공급망 다변화 수혜 기업(동남아, 인도 생산 기지) 부각.

출처 산업부


✨ 정리

이번 주 경제 이슈를 한 줄로 정리하면,
👉 “정치적 불확실성(셧다운, 관세) + AI 초대형 투자(메타) + 기업·부동산 규제(비자, 세무조사)”

즉, 단기적으로는 변동성이 크지만, 

장기적으로는 AI 인프라·안전자산·공급망 다변화가 

핵심 투자 키워드입니다.



📌 이번 주 투자 키워드


1. 안전자산(금, 국채) — 미국 셧다운 불확실성 대응.
2. AI 인프라(엔비디아, 데이터센터) — 메타 투자로 성장 지속.
3. 한국 대미투자 기업(삼성전자·현대차·SK) — 비자 협의로 리스크 완화.
4. 공급망 다변화 기업 — 무역갈등 장기화 수혜.



✋ 
오늘도 끝까지 읽어주셔서 감사합니다 🙏
이번  경제 뉴스가 여러분 투자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