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📈 코스피, 사상 최고치 경신
오늘(10일) 코스피가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.
지수는 3,314.53에 마감했고, 장중에는 3,317.77까지 올라갔습니다.
• 외국인 투자자(해외 큰손)와 기관 투자자(은행·연기금 같은 큰손 투자자)가
주식을 많이 사면서 지수가 올라간 것.
• 반대로 개인 투자자들은 많이 팔았어요.
“주가가 많이 올랐을 때 차익 실현”을 한 거죠.
👉 쉽게 말해:
큰손 투자자(외국인·기관)가 대량으로 쇼핑을 하니,
가게(코스피) 매출이 역대 최고가 된 상황이에요.
💡 투자 포인트
•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 → 한국 증시에 대한 신뢰 상승
• 개인이 매도했다는 건 “조정이 올 수도 있다”는 불안 심리 반영
• 단기 조정 가능성은 있지만, 중장기적으로는 상승 모멘텀 유지 기대
🏦 은행·증권주 급등
특히 은행주와 증권주가 많이 올랐습니다.
• 은행 지수 : +4.13%
• 증권 지수 : +4.12%
이유는?
• 이재명 대통령이 곧 기자회견에서 주식 관련 세금(양도세 대주주 기준)에 대해 언급할 거라는 기대감.
• 또 최근 정부가 주주 환원 정책(배당 확대, 자사주 소각 등)을 밀고 있어 증권주가 더 주목받은 거죠.
👉 쉽게 말해:
정부가 “주주들에게 돈 더 돌려줄게!” 하니, 은행·증권주에 사람들이 몰린 거예요.
💡 투자 포인트
• 금융주는 정책 변화에 민감 → 단기 테마주 성격 강함
• 장기적으로는 금리 환경, 경기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받음
• 정책 모멘텀 때문에 단기 트레이딩 기회 가능

👜 8월 취업자, 증가폭 둔화
8월 기준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6만 6천 명 증가했습니다.
• 60세 이상 고령층 : 40만 명 이상 늘었음
• 청년층 : 20만 명 이상 감소
• 제조업·건설업 : 여전히 고용 부진
또, ‘쉬었음’ 인구(구직활동조차 하지 않는 사람)가 264만 1천 명으로 늘었는데,
특히 30대 쉬었음 인구가 32만 8천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
👉 쉽게 말해:
일자리는 늘긴 했지만, 청년층은 줄고 노인층은 늘어난 상황이에요.
또 “그냥 쉬겠다”는 사람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어요.
💡 투자 포인트
• 청년 취업 부진 → 소비 위축 가능성 (특히 20~30대 소비재, 서비스 산업에 부담)
• 고령층 취업 증가 → 노인 맞춤형 산업(요양·헬스케어 등) 성장성 강화
• 제조업 고용 부진 → 경기 둔화 신호로 해석 가능
💰 국민성장펀드, 150조 원으로 확대
정부가 당초 100조 원 규모로 만들려던 국민성장펀드를
150조 원 이상으로 키운다고 밝혔습니다.
이 펀드는 앞으로 5년간 :
• AI, 반도체, 바이오 같은 첨단산업 지원
• 벤처기업 성장 지원
• 지역 성장, 일자리 창출
👉 쉽게 말해:
국가가 큰돈을 모아 미래 먹거리 산업에 투자하는 ‘국민의 투자 펀드’라고 보면 돼요.
💡 투자 포인트
• 정책 지원 산업 = 투자 기회
• AI·반도체·바이오 → 장기 성장 테마
• 관련 ETF나 우량 기술주에 중장기적으로 긍정적
💉 마운자로, 품귀 현상
비만 치료 주사제 ‘마운자로’가 출시 한 달 만에 품귀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
• 공급량이 부족 → 대부분 약국에서 구하기 어려움
• 원래는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됐는데, 다이어트용으로 오남용되면서 수요가 폭발
👉 쉽게 말해:
시험 공부용 에너지 드링크를 사려는 학생이 몰려서,
정작 필요했던 사람(피곤한 직장인)이 못 사는 상황이랑 비슷합니다.
💡 투자 포인트
•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, 일라이 릴리 등 관련 기업 수혜
• 국내 관련 유통업체·비만치료제 관련주에도 단기 수급 영향
• 다만 오남용 문제 → 정부 규제 리스크 주의
✈️ 미국 구금 한국인, 석방 지연
미국에 구금된 한국인 약 300명이 자진 출국 형식으로 11일 귀국할 예정이었지만,
미국 측 사정으로 석방이 지연되고 있습니다.
👉 쉽게 말해:
비행기 표까지 끊어놨는데, 미국 측에서 행정 절차 문제로 출발이 미뤄진 상황이에요.
💡 투자 포인트
• 직접적인 투자 영향은 적음
• 단기 외교 뉴스 → 환율·정치 테마주에 미세한 변동 가능성

⸻
📚 오늘의 경제 키워드 정리
• 코스피 : 한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 (주식 시장의 성적표)
• 기관 투자자 : 연기금, 은행, 보험사처럼 큰돈을 움직이는 투자자
• 주주 환원 정책 : 회사가 돈을 벌면 주주에게 나눠주는 정책 (배당·자사주 소각 등)
• 국민성장펀드 : 정부가 만든 대규모 투자 펀드 (미래산업 투자)
• 품귀 현상 : 수요(사려는 사람)는 많은데, 공급(물건)이 부족해 구하기 힘든 상황
'경제흐름 지식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📈 이틀 연속 최고치! 코스피, 그런데 하락 대비 자금도 급증?! (2) | 2025.09.13 |
|---|---|
| 🌏 오늘의 경제 한눈에 보기 – 9월 12일 투자 포인트 브리핑 (0) | 2025.09.12 |
| 💶 코스피 연고점•SK하이닉스 급등•금값 최고치! 이번 주 투자 포인트 총정리 (0) | 2025.09.10 |
| 💴 9월 9일 쉽고 이해빠른 경제뉴스 정리! (0) | 2025.09.09 |
| 💵 9월 8일, 경제뉴스 요약정리 (1) | 2025.09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