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흐름 지식일지

면세점 업계, 여행객은 늘었는데 왜 울상일까? (K-푸드와 K-뷰티가 만든 새로운 판)

by 이응미음 2025. 10. 9.
반응형

 

 

 

안녕하세요😊 

오늘은 면세점 산업의 뒷이야기와 투자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.



✈️ 코로나 이후 다시 붐비는 면세점… 그런데 왜 적자일까?

최근 여행객 수가 크게 늘면서 공항과 시내 면세점이 북적이고 있습니다.

그런데 정작 면세업계는 “적자 늪”에 빠졌습니다.
대표적으로 신라면세점(호텔신라)이 인천공항에서 철수를 선언했는데요.
이유는 간단합니다.

👉 매출은 늘었지만, 수익은 줄었기 때문!



🚨 신라면세점의 철수 배경


• 신라면세점은 2023년 인천공항 입찰에서 

높은 임대료(1인당 8,987원) 조건으로 사업권을 따냈습니다.
• 하지만 중국인 관광객 감소 + 고환율 부담으로 기대만큼 벌지 못했습니다.
• 외국인 관광객들이 이제는 면세점 대신

 올리브영·다이소·무신사 같은 시내 매장으로 몰리는 것도 한몫했죠.

• 매달 60~80억 원 적자가 누적되자, 

결국 약 1,900억 원 위약금을 포기하면서까지 철수를 결정했습니다.

📌 비유
이건 마치 “비싼 월세 내고 가게 열었는데 손님은 

자꾸 옆 동네 편의점으로 가버린 상황”과 비슷합니다.



📈 매출은 늘었는데, 객단가는 뚝 떨어졌다


• 2024년 7월 기준, 방한 관광객 수는 +23% 증가
• 하지만 면세점 총매출은 –8.6% 감소
• 1인당 평균 구매액이 42만 원 → 35만 원으로 16% 급감

👉 과거엔 “따이궁(보따리상)”이 화장품·홍삼을 쓸어 담으며 

1인당 200만 원 넘게 소비했지만, 

지금은 일반 관광객들이 먹거리·기념품 위주로 소비하다 보니

 ‘많이 와도 적게 쓰는’ 구조가 된 겁니다.



💰 임대료 폭탄에 흔들리는 업계


• 2024년 면세점 빅4(롯데·신라·신세계·현대)의 합산 영업손실 : 2,800억 원+
• 같은 기간 공항공사에 낸 임대료 : 6,000억 원

📌 쉽게 설명
면세점은 “손님은 늘었는데 가게 월세는 더 비싸졌다”는 딜레마에 빠진 셈입니다.



💄 명품 대신 K-푸드, K-뷰티가 뜬다

예전엔 명품 가방, 시계가 매출 효자였다면,
요즘은 한국 과자·떡볶이 양념·전통 디저트 같은 K-푸드,
그리고 K-뷰티가 더 잘 팔리고 있습니다.


• 신세계면세점 : 식품 매출 +40% 증가
• 롯데면세점 : 식품 매출 +22% 증가
• 인천공항 면세점에도 김치볶음·약과·떡볶이 세트가 전면 진열

👉 “명품 쇼핑”에서 “한국스러운 체험 쇼핑”으로 바뀌고 있는 거죠.

출처 조선비즈



🥋 업계 생존 전략 – 변화의 3가지 키워드


1. 구조조정
• 적자 매장 폐점 (신세계 부산점, 현대 동대문점 등)
• 인력 감축, 매장 축소로 비용 절감

 

2. 탈(脫) 따이궁
• 롯데는 2023년부터 따이궁 거래 전면 중단
• 대량 도매보다 개별 관광객·MZ세대 공략 강화

 

3. 경험형 공간 & 디지털 전환
• K-팝 굿즈, 캐릭터 팝업스토어, 미디어아트 전시
• 온라인 예약·픽업, AI 맞춤 추천, 블록체인 신분증 도입

📌 핵심 포인트
면세점은 이제 단순히 “물건 파는 가게”가 아니라,

 K-컬처 복합 체험 공간 + 디지털 쇼핑 플랫폼으로 변신 중입니다.



📊 투자 포인트


1. 호텔신라·롯데·신세계 등 면세점 관련주
• 단기적으로는 임대료 부담 & 구조조정 리스크
• 장기적으로는 K-푸드·뷰티 + 개별 관광객 수요가 성장 모멘텀

 

2. K-푸드·K-뷰티 관련 기업
• 오리온, 삼양, 빙그레 등 한국 과자·식품 기업
• 아모레퍼시픽, LG생활건강 같은 K-뷰티 대표주
• 면세점 매출 구조가 바뀌면서 수혜 가능성↑

 

3. 디지털 전환 관련주
• AI·빅데이터 마케팅, 무인결제·블록체인 신분증 솔루션 기업
• 면세점 유통 혁신에 필요한 기술 기업들도 주목할 만함



📌 오늘의 정리


• 여행객은 늘었지만, 면세점은 여전히 적자 구조
• 이유는 임대료 폭탄 + 소비 트렌드 변화
• 명품 대신 K-푸드·K-뷰티가 새 주인공
• 면세점은 이제 체험형 공간 + 디지털 플랫폼으로 진화 중

 




🙋 
오늘은 면세점 산업의 속사정과 앞으로의 투자 포인트까지 정리해드렸습니다.
앞으로는 “명품 쇼핑” 대신 “한국스러운 체험”이 

중심이 될 가능성이 크다는 점, 꼭 기억하세요!
읽어주셔서 감사합니다. 다음 글에서 또 만나요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