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안녕하세요!
오늘은 오라클 수익성 우려로 기술주가 주춤한 가운데,
금값은 역사상 최고치를 찍은 소식까지 정리해 드릴게요. 📊✨
⸻
📰 뉴욕증시 한눈에 보기
• S&P500 : 15,655.69 (-1.48%)
• 나스닥 : 22,788.36 (-0.67%)
• 다우존스 : 46,602.98 (-0.20%)
👉 쉽게 말해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힘을 잃고 전체 시장도 하락했습니다.

⚙️ 오라클 수익성 우려, AI 랠리 제동?
오라클이 클라우드 사업 이익률(마진)이 기대보다 낮다는 보도로 흔들렸습니다.
• 매출은 9억 달러였지만, 이익률이 14% → 회사 평균 이익률(70%)보다 한참 낮음.
• 이유 : 엔비디아 GPU(고가 칩) 구매 + 치열한 임대 경쟁 → 수익성 악화.
• 결과 : 오라클 주가 -2.5%, 반도체주 동반 약세.
📌 용어 풀이
• 이익률(마진) : 물건 팔고 남는 ‘순수익 비율’.
→ 예를 들어, 컵라면 1,000원에 팔아서 700원 남으면 마진 70%.
→ 오라클은 1,000원 팔아도 140원밖에 못 남기는 상황.
💡 투자 포인트
AI 인프라 투자는 여전히 성장 동력이지만,
과도한 투자 → 낮은 마진 → 주가 변동성 확대 가능성 주의 필요.

🚗 테슬라, 저가 모델Y 출시했지만 ‘시장 실망’
• 신형 모델Y 저가형 : 39,990달러 (기존보다 5천 달러↓)
• 단, 주행거리 짧아지고 기능 축소 → “완전히 새로운 모델이 아님”이라는 실망감.
• 결과 : 주가 -4.45% (애프터마켓은 소폭 반등).
💡 투자 포인트
저가 전략으로 시장 확대 시도 중이지만, 수요 회복 여부가 관건.
단기 반등보다 장기적 혁신 모델이 나와야 재평가 가능.

🏗️ 트릴로지메탈스, 하루에 200% 폭등!
• 미국 정부, 알래스카 앰블러 광산 프로젝트 재개 → 핵심 광물 확보 위해 투자.
• 캐나다 업체 트릴로지메탈스에 지분 투자(약 3,560만 달러).
• 결과 : 주가 하루 만에 +211% 폭등! 🚀
📌 비유
미국이 “핵심 자원 창고” 열쇠를 쥔 작은 회사에 돈을 넣으면서,
시장에서 ‘희귀 아이템 보유자’로 평가받은 셈.
💡 투자 포인트
정책 수혜주는 단기간 급등할 수 있으나 변동성도 크니 분산 투자 필요.

🪙 비트코인, 최고가 찍고 숨 고르기
• 전일 사상 최고가 : 126,200달러
• 현재 : 약 122,000달러 (-2%)
• 원인 : 단기 차익 실현 매물 출회.
💡 투자 포인트
장기적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나, 고점 부근에서는 변동성 관리가 중요.

🏆 금, 사상 첫 4,000달러 돌파
• 미국 정부 셧다운 + 경기 불확실성 → 안전자산 수요↑
• 금 선물 가격 : 온스당 4,000달러 최초 돌파
• 변동성 지수(VIX)도 5% 이상 상승.
📌 용어 풀이
• 안전자산 : 경제가 불안할 때 사람들이 몰리는 자산 (금, 달러, 국채 등).
• 즉, 배가 흔들릴 때 튼튼한 구명조끼 찾듯 투자자들이 금으로 몰린 상황.
💡 투자 포인트
경기 불안이 계속되면 금값은 추가 상승 가능성.
다만, 너무 늦게 탑승하면 고점 리스크 주의.
⸻
💴 엔화 약세, 다카이치 집권 기대감
• 엔/달러 환율 : 152.3엔 (8개월 만에 최저치).
• 이유 : 차기 총재 유력 인물 다카이치 사나에,
금리 인상 반대 →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.
👉 엔화 약세 → 일본 수출기업에 유리, 일본 여행객엔 불리.

🤖 퀄컴, 아두이노 인수 → 로보틱스 강화
• 퀄컴, 이탈리아 오픈소스 하드웨어 기업 아두이노(Arduino) 인수.
• 로보틱스·IoT(사물인터넷) 확장 → 개발자 생태계 확대 노림수.
💡 투자 포인트
AI + 로보틱스 + IoT 결합은 중장기 성장 모멘텀.
퀄컴은 단순 반도체 기업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기업으로 진화 중.
⸻
✅ 오늘의 투자 정리
1. 오라클 – AI 인프라 투자, 그러나 마진 압박에 따른 주가 변동성.
2. 테슬라 – 저가 모델 출시에도 수요 회복 의문.
3. 트릴로지메탈스 – 정책 수혜주 폭등, 단기 변동성 주의.
4. 비트코인 & 금 – 안전자산/위험자산 간 자금 이동 가속화.
5. 엔화 약세 – 일본 수출주 수혜, 여행/소비자 불리.
6. 퀄컴 – 로보틱스·IoT 확장으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.
👉 초보 투자자는 단기 급등락보다는
장기 성장 테마(금, AI, 로보틱스, 전략 자원)에 주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⸻
✍️
오늘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🙏
경제 뉴스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
이렇게 하나씩 풀어가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요.
다음에도 더 쉽고 유익한 투자 인사이트로 찾아뵙겠습니다! 🚀
'경제흐름 지식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저물어가는 전세 시대, 이유와 투자 포인트 총정리 (0) | 2025.10.10 |
|---|---|
| 면세점 업계, 여행객은 늘었는데 왜 울상일까? (K-푸드와 K-뷰티가 만든 새로운 판) (0) | 2025.10.09 |
| 🚀 주가 3배 뛴 코어위브(CoreWeave), 앞으로도 상승할까? (0) | 2025.10.08 |
| 🧠 AI 시대, 왜 메모리 반도체가 뜨는 걸까? (HBM · D램 · 낸드 완전 정리) (0) | 2025.10.07 |
| 📱 카카오톡 친구탭 논란, 결국 원상 복구…카카오 주가와 투자 포인트는? (0) | 2025.10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