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최근 나온 주요 경제뉴스 소식들을
쉽고 이해할 수 있도록
정리해 보았습니다!

📈 코스피 3,200선 회복!
한국 주식시장(코스피)이
오늘 3,200포인트를 넘어서며
마감했습니다
이유는 미국에서 일자리 구하는 사람 수(구인 건수)가 예상보다 적게 나오면서,
미국이 곧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크다고 사람들이 생각했기 때문이에요.
하지만 중국이 “주식시장이 너무 뜨겁다”며
공매도 제한 완화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나오자, 우리나라 주식 상승폭은 조금 줄었어요.
👉 정리: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
돈 빌리기가 쉬워져서 주식시장이 좋아지고,
반대로 중국 뉴스는 투자심리를
약간 식게 만든 거예요.
[용어 설명]
코스피 : 한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.
우리나라 큰 기업들의 주가를 모아 평균 낸 수치.
금리 인하 : 은행에서 돈 빌릴 때
내야 하는 이자가 줄어드는 것.
기업과 개인이 돈을 더 쉽게 쓸 수 있어요.
공매도 : 주식을 없는 상태에서 빌려서
먼저 팔고, 나중에 다시 사서 갚는 투자 방식.
주가가 내려갈 때 이익을 볼 수 있어요.
코스피 지수는 마치 학교 성적표 평균 점수 같아요. 우리나라 기업들이 잘 나가면 점수가 오르고, 힘들면 점수가 떨어지죠.
이번에 코스피가 3,200점을 넘은 건, 미국이 곧 금리를 낮출 거라는 기대 때문이에요.
👉 비유하자면!
금리 = 학원비 할부 이자.
금리가 내려가면 = 할부 이자가 줄어서
학원 다니기 편해짐.
기업도 돈 빌리기 쉬워져서 성적(주식시장)이
좋아지는 거예요.
🏅 금값, 사상 최고치!
최근 금값이 사흘 연속 최고치를 기록했어요.
온스당 3,593달러까지 올랐답니다.
사람들이 금을 사는 이유는 불안할 때
안전하게 돈을 지키기 위해서예요.
요즘 세계적으로 빚(부채) 문제가 커지고,
미국 경제도 살짝 불안해지자
금으로 돈이 몰린 거예요.
👉 정리: 불확실할 땐 금값이 오르기 쉽다!
[용어 설명]
온스(oz) : 무게 단위.
금 거래에서 주로 쓰는데,
1온스는 약 28g 정도예요.
안전자산 : 위기 상황에서 가격이 잘 안 떨어지고 오히려 인기가 많아지는 자산.
대표적으로 금, 달러, 미국 국채가 있어요.
👉 비유하자면!
금은 마치 레어템이나
한정판 아이템 같아요.
친구들이 “앞으로 무슨 일이 생길지 몰라!”
하면서 다들 사니까 가격이 쭉쭉 오르는 거예요.
🤝 SK온, 미국과 배터리 계약!
한국 회사 SK온이 미국의 재생에너지 회사와
전기를 저장하는 장치(ESS)를
1 GWh 규모로 공급하기로 했어요.
내년부터 배터리가 들어간
컨테이너형 ESS를 제공한대요.
이 소식 덕분에 SK온과 모회사인
SK이노베이션 주가가 크게 올랐어요.
👉 정리: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뿐만 아니라,
전기 저장에도 크게 쓰이고 있다는 점!
[용어 설명]
ESS(Energy Storage System):
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
필요할 때 꺼내 쓰는 장치.
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와
잘 어울려요.
LFP 배터리: 리튬·철·인산이 들어간 배터리. 안전하고 수명이 길지만,
에너지 밀도는 조금 낮아요.
ESS는 거대한 보조배터리라고 생각하면 돼요. 태양광 같은 재생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거죠.
👉 비유하자면!
친구랑 “게임할 때 너한테 보조배터리
빌려줄게” 하고
계약한 거랑 비슷해요.
앞으로 미국에서 한국 배터리가
더 많이 쓰일 거라, 기업 가치도 올라간 거예요.
💰 한국, 7월 경상수지 15조 원 흑자
한국이 7월에 15조 원 정도 돈을 더 벌었어요!
수출이 많이 돼서
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는데,
특히 반도체와 자동차가 잘 팔렸대요.
👉 정리: 한국은 물건을 해외에 많이 팔아서 외화를 벌고 있음!
다만, 앞으로 미국이 한국 물건에
관세(세금)를 더 매기면 수출이
조금 힘들어질 수도 있어요.
[용어 설명]
경상수지: 나라 안팎에서 돈이 얼마나
오가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제 지표.
흑자: 번 돈이 쓴 돈보다 많을 때. (반대: 적자)
관세: 외국 물건이 들어올 때 붙는 세금.
👉 비유하자면!
집에서 용돈을 5만 원 받았는데,
이번 달에 간식비는 3만 원만 썼다면?
남은 2만 원은 저축할 수 있잖아요.
그게 바로 흑자예요.
한국은 해외에 물건을 많이 팔아서
돈을 더 벌고 있어요.
😰 상장폐지 종목, 큰 손실!
올해 주식시장에서 16개 회사가
상장폐지 됐어요.
상장폐지가 되면 그 회사 주식은
거래소에서 더 이상 사고팔 수 없어요.
정리매매 기간에 어떤 주식은
갑자기 오르기도 했지만,
평균적으로는 -93% 손실을 봤어요.
👉 정리: 위험이 큰 주식에 무작정 투자하면
큰 손실을 볼 수 있음!
[용어 설명]
상장폐지: 회사가 주식시장에서
퇴출되는 것.
보통 재무 상황이 안 좋을 때 일어나요.
정리매매: 상장폐지 전에 마지막으로
며칠 동안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기간.
👉 비유하자면!
학교에서 계속 성적이 낮거나
규칙을 안 지키면 퇴학당하는 것과 비슷해요.
상장폐지 직전, 어떤 주식은 갑자기 오르기도
했지만 평균적으로는 거의 다 잃었어요(–93%).
즉, 위험한 걸 쫓아가면
낭패 볼 수 있다는 교훈!
🏘️ 수도권 아파트 경매, 차가운 분위기
지난달 아파트 법원경매가
전월보다 12% 줄었어요.
특히, 수도권에서는 6.27 대출 규제 때문에
집을 사려는 사람이 줄었고,
낙찰률도 낮아졌어요.
👉 정리: 집을 살 때 은행에
빌릴 수 있는 돈이 줄어드니,
사람들이 집을 쉽게 못 사는 상황이에요.
[용어 설명]
경매: 집주인이 빚을 못 갚으면
법원이 대신 집을 팔아서 돈을 돌려주는 절차.
낙찰률: 경매에 나온 집이 실제로 팔린 비율.
6.27 대책: 정부가 발표한 대출 규제 정책.
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
6억 원으로 제한했어요.
👉 비유하자면!
중고거래 사이트에서
비싼 게임기를 사고 싶은데,
부모님이 “용돈에서 빌려주는 건 6만 원까지만!”이라고 제한한 거예요.
그러면 비싼 게임기 사고 싶어도 못 사죠.
그게 바로 지금 집 시장 상황이에요.
✅ 오늘 경제 한 줄 정리
✔️ 미국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
→ 주식시장 반등
✔️ 불안할 땐 금값이 치솟는다
✔️ 한국 배터리 산업, 미국에서도 활약!
✔️ 수출 덕분에 경상수지는 흑자
✔️ 상장폐지 주식은 매우 위험!
✔️ 대출 규제로 수도권 아파트 거래 위축
'경제흐름 지식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9월 11일, 경제 뉴스 요약 정리 & 투자포인트! (2) | 2025.09.11 |
|---|---|
| 💶 코스피 연고점•SK하이닉스 급등•금값 최고치! 이번 주 투자 포인트 총정리 (0) | 2025.09.10 |
| 💴 9월 9일 쉽고 이해빠른 경제뉴스 정리! (0) | 2025.09.09 |
| 💵 9월 8일, 경제뉴스 요약정리 (1) | 2025.09.08 |
| 💸글로벌 국채 금리 급등! 주식시장의 복병? (3) | 2025.09.06 |